구글 검색엔진 최적화를 위해 손쉽게 WebP 변환하는 방법

고품질 포스트로 평가되기 위해서는 내용뿐만 아니라, 구글 검색엔진에 최적화된 포스트인가도 중요합니다.
포스트에 첨부하는 이미지가 많을 수록 용량이 늘어나고 이는 로딩속도에 영향을 줄 수밖에 없습니다.
이런 사용자가 많아질 수록 구글 플랫폼의 관리 비용이 천문학적으로 늘어날 수밖에 없겠죠.
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글에서 웹 최적화 이미지 포맷인 'WebP'를 만들었습니다.
오늘은 'WebP'를 사용해야하는 이유와 손쉽게 변환하는 방법을 공유하고자 합니다.

 

WebP 이미지 포맷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

앞서 말씀 드린대로 'WebP' 이미지 포맷은 웹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해 구글에서 개발한 이미지 포맷입니다.
'WebP'는 원본 이미지의 품질을 크게 저하시키지 않으면서 다른 이미지 포맷(jpg, png 등) 보다 우수한 압축률을 제공하기 때문에 이미지 용량이 획기적으로 감소합니다. 웹 트래픽도 함께 개선되겠죠.
구글 검색엔진은 웹사이트의 성능과 로딩속도를 고려하여 최적화 여부를 결정하기 때문에, 'WebP' 이미지 포맷을 사용하는 것이 구글 검색엔진 친화적이라고 볼 수 있겠습니다.

 

WebP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 방법

일반 이미지 포맷(jpg, png 등)에서 'WebP' 이미지 포맷으로 변환시키는 서비스들은 아주 많습니다.
블로그 포스팅을 하다보면 꽤 많은 이미지를 첨부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, 'WebP' 변환 방법도 간결하면 좋겠죠.
제가 써본 방법 중에 가장 간편했던 '꿀뷰' 프로그램을 이용한 변환 방법을 알려드립니다.

 

1. '꿀뷰' 프로그램 설치

  • 반디소프트에서 개발한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

반디소프트 홈페이지
반디소프트 홈페이지

 

2. 이미지 포맷 변환

  • 변환 대상 이미지 우클릭 → '꿀뷰로 변환'을 클릭합니다.
  • '저장 이미지 포맷 - 포맷 선택'에서 'WEBP'로 설정 후, 변환을 시작합니다.

꿀뷰 이미지 포맷 변환
꿀뷰 - 이미지 포맷 변환

 

3. WebP 이미지 용량 비교

왼쪽은 'png' 이미지 포맷이고, 오른쪽은 'WebP' 이미지 포맷입니다.
큰 폭으로 용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(2.66 Mbyte → 585 Kbyte)
참고로 업로드한 'WebP' 이미지를 편집할 경우 다시 'png' 포맷으로 변경됩니다.
가급적 이미지 편집은 사전에 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.

WebP 이미지 포맷 변경 전WebP 이미지 포맷 변경 후
WebP 이미지 포맷 전/후 용량 비교

 

포스트를 작성하다 보면 참고자료, 직접 찍은 사진 등 10장 이상의 이미지를 활용하기도 합니다.
이렇게 각 이미지마다 'WebP' 포맷으로 변경해서 업로드하면 웹 트래픽, 로딩속도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
다소 번거롭더라도 이미지 포맷 변환 후, 업로드하는 건 어떨까요?